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2

[기획자의 삶] Empas - 제휴 비즈니스팀 엠파스(EMPAS)를 기억하는 IT 가이들이 이제 얼마나 있을까요?엠파스는 2000년대 초 '네이버, 다음, 야후, 파란 등'과 어깨를 나란히 했던 검색 포털사이트였습니다.검색 기술 기반의 기업들이 인터넷 산업을 이끌어 가고 웹이란 매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기 위해 너도 나도 인터넷이라는 금광을 찾기 위해 '벤처'이라는 기업들이 저마다의 기대와 비전을 갖고 (사실은 사업계획서라고 할 만한 내용도 담지 못한 허접한 기획서 몇 장만으로도 쉽게 투자를 받을 때...) 우후죽순 처럼 테헤란 밸리에 터를 잡을 때, 어쩌면 가장 확실하고도 Web 1.0이라는 정의를 하게될 세대(1st Generation)의 주축이 되었던 검색 포털(Portal) 중 하나의 기업이었습니다. 저는 이 곳에 2002년 12월 어.. 2024. 9. 21.
[언론기사] NSIS 2024 지난 5월 28일, NSIS 2024에서 발표한 기사와 영상을 포스팅합니다. 이전에 포스팅한 PASCON 2024에서 발표한 내용과 거의 동일합니다. 예전에 Low Code, 제조 솔루션, 생성형 AI와 Low Code 관련 컨퍼런스 발표 내용들은 모두 하나 하나 강연 주제에 맞게 변화를 주어 작성하고 강연했었는데, 보안/인증 관련한 내용들을 아무래도 변화구 보다는 직구를 골라 작성하고 발표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개인적으로 CBDC, 모바일 신분증 이 2가지 키워드가 2025년에 블록체인 산업의 재중흥을 불러일으킬 키워드가 될 것이라 확신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지금까지는 가상 자산/화폐에 인식 자체가 매몰되어 데이터베이스로서의 활용이라던지 가상자산 외의 쓰임에 대해서 대중적으로 인식되기가 매우 어려.. 2024. 9. 21.
[언론기사] PASCON 2024 지난 9월 10일, PASCON 2024에서 발표한 영상과 기사가 올라 왔네요. Web3, Blockchain 관련한 글들을 써 올릴 계획이지만, 이미 진부한 얘기가 아닌지 해서 써 올리는 게 좋을지 좀 고민이 됩니다. PASCON 2024에서는 '디지털 인증의 혁신, 분산형 신원증명과 통합인증'이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했습니다. 1. 디지털 인증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2. 디지털 인증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바뀌어 왔는지 3. 분산형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ty)가 무엇인지 4. DID가 왜 중요한지 5. DID기반의 국가 모바일 신분증의 현주소와 로드맵은 어떠한지 6. 국가 모바일 신분증을 구축한 라온시큐어의 OmniOne Digital ID는 무엇인지 7. OmniOne Digital.. 2024. 9. 21.
가을이다. 봄, 가을이 없다 누가 그랬는가. 이렇듯 가을이 오고 왔다. 내 시간도 가을이다. 여름은 이제 추억이다. 가을이 왔고 반갑게 맞이 할 뿐이다... 2024. 8. 30.
[SW 개발방법] Low Code Development Platform 3#. 1. LCDP가 Platform인 이유 - Multi Source, Multi Library, Multi Channel, Multi Framework 사용 2. LCDP가 산업 내에서 안착하기 위한 Key Success Factorss 1) Policy & Regulation - 다수의 사람이 공동된 목표를 실현하는 그 과정을 함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규칙과 가이드'가 필요하다. 특히, SW를 개발하는 과정은 흔히 '프로젝트'라는 특정한 목적을 중심으로 '일정과 비용'이 소요되면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각자의 R&R를 부여받고(Deployed) 의사소통을 하는 일련의 과정을 겪게 되므로 '규칙과 가이드'는 더더욱 필요하며, 프로젝트에서는 'Project Chater'라는 것을 만들어 공동의 목표를.. 2022. 5. 7.
[펀딩과 투자] 신사업 투자 #1. IT 또는 ICT라는 단어가 본격적으로 특정 산업군을 형성하기 이전부터 전산학 또는 컴퓨터공학이라는 이름으로 전공을 하고, 그를 기반으로 사업을 하는 소위 공학도 출신의 사업가와 그들의 사업체는 아이러니 하게도 현대적인 ICT에 대해 거의 관심이 없거나, 관심을 아예 갖지 않으려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을 종종보곤 한다. Innovator Dilemma라고 하는 특정 영역에서 혁신하여 성공에 이른 이들은 다른 부문에서 이전의 성공 경험을 똑같이 고집하여 결국은 실패에 이르는 길인데, 내가 경험한 몇몇의 사업 리더들이 이 딜레마를 겪고 있는 모습을 본다. 신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1. 아이디어 또는 아이템의 창의성과 독창성 2. 기술적인 실현 가능성 3. 사업성 4. 경제성 / 수익성 을 든다고 .. 2022. 5. 1.
[컨택센터] 컨택센터 주요 플레이어 컨택센터는 크게 '구축 업체, 운영 업체, 사용 업체' 3가지로 구분하며, 이중 구축과 운영을 동시에 하는 업체도 존재함     컨택센터 구축 업체는 컨택센터 운영 업체의 상담원 또는 텔레마케터가 사용하는 토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업체로 자체 솔루션을 커스터마이징하여 'On Premise, ASP, Cloud'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핵심 서비스로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녹취시스템 등'이 있는데, 2017년 이전까지는 '시스템의 통합적 기능, 안정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등'을 중요 시 했으나, 최근에는 '챗봇, 상담봇, RPA(Robotic Process Automa.. 2021. 1. 6.
[음악] 메탈리카 #2. Master of puppets Artist: Metalica Album: (정규앨범 3집) Master Of Puppets Album Info.: 1986.03.03 메탈리카 정규앨범 3집(Master of puppets)의 타이틀 곡이다. 말이 필요 없는, 별다른 수식어가 무색한 명곡 중에 명곡이다. 헤비메탈이란 음악 장르를 접한 후 처음으로 구입한 Metalica의 앨범인데, 이전까지는 'Bon Jovi, Motley Crue, Helloween, Stryper, Def Leppard, Queen, Scorpions, Guns N' Roses, Tesla, Mr.Big' 등 하드락에서 L.A 메탈, British 메탈 장르를 주로 듣다가 Thrash 메탈 장르로는 처음 접한 그룹이 Metalica이고 그들의 3번째 정규앨범 타이틀.. 2021. 1. 5.
[컨텍센터] 컨택센터 산업동향 1. 산업 정의기존에 전화통화로 고객과의 상담이 이뤄지는 것에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이메일, 화상통화, 채팅, 원격제어 등 다양한 경로로 고객과의 상담 업무가 진행되는 곳을 의미2. 시장 규모컨택센터 산업은 크게 '컨택센터 구축 매출과 운영 매출로 구성'되며 전체 시장은 약 22조원으로 추산컨택센터 구축 매출은 최근 자료가 없어 2016년 자료 참고를 함. 2017년 부터 '① IPCC(Internet Protocol Contact Center) 기반의 A.I와 Data 기술이 확산되었고, ② 코로나로 인해 재택 수요의 증가'로 POST 코로나 시대에 컨텍센터의 신수요가 발생. 2012년 약 34.4%의 매출 증가(신규 시스템으로 교체 수요 발생)가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약 13조원으로 추산    컨택.. 2021. 1. 4.